학과소개

교수진

  • 고운기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4

    • E-MAIL

      poetko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21호

    MORE VIEW
  • 고운기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4

    • E-MAIL

      poetko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21호

    학력

    • 1984 한양대학교 국문학과 졸업(문학사)
    • 1986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(문학석사)
    • 1994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(문학박사)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한국문학의 고전시가, 설화, 신화의 연구. 특히 이것이 문화콘텐츠의 문화원형을 이루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. 창작소재로 활용할 자료의 발굴

    주요경력
    • ​일본 게이오대학 방문연구원(1999-2002)
    • 메이지대학 객원교수(2007)
    • ERICA학술정보관장(2017-2018)
    주요논문
    • <德川家 장서목록에 나타난 『삼국유사』의 전승>
    • <일연의 균형으로서 글쓰기>
    • <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>
    • <문화원형의 의의와 『삼국유사』>
    • <파괴와 복원의 변증>
    • <13세기 歷史像의 스토리 개발>
    • <모험 스토리 개발을 위한 『삼국유사』 설화의 연구>
    • <여성의 모험과 水路夫人>
    • <『쿠쉬나메』 연구 序說>
    • <동반자형 이야기의 원형성 연구> 외 30여 편
    주요 저서
    저서
    • 『일연』(한길사,1997)
    • 『새로 읽는 한국고시가』(드림북스,1998)
    • 『일연과 삼국유사의 시대』(월인,2001)
    • 『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』(현암사,2002)
    • 『북경거지』(창비,2003)
    • 『길 위의 삼국유사』(미래M&B,2006)
    • 『일연을 묻는다』(현암사, 2006)
    • 『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』(산하, 2006)
    • 『한국 고전시가의 근대』(보고사,2007)
    • 『듕귁과 오뤤지』(샘터,2008)
    • 『도쿠가와가 사랑한 책』(현암사,2009)
    • 『삼국유사 글쓰기 감각』(현암사,2010)
    • 『삼국유사 길 위에서 만나다』(현암사,2011)
    • 『신화 리더십을 말하다』(현암사,2012)
    • 『첫 키스는 사과맛이야 1』(놀, 2012)
    • 『모험의 권유』(현암사, 2015)
    • 『도쿄의 밤은 빨리 찾아온다』(이다, 2017)
    • 『모든 책 위의 책』(현암사, 2020)
    • 『13세기와 삼국유사-나는 이렇게 본다』(보리, 2021)
    • 『삼국유사의 재구성』(역락, 2021)
    시집
    • 『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』(청하,1987)
    • 『섬강 그늘』(고려원,1995)
    • 『나는 이 거리의 문법을 모른다』(창작과비평사,2001)
    • 『자전거 타고 노래 부르기』(랜덤하우스,2008)
    • 『구름의 이동속도』(중앙M&B,2012)
    • 『반쯤』(지식을만드는지식,2015)
    • 『어쩌다 침착하게 예쁜 한국어』(문학수첩, 2017)
    • 『익숙해진다는 것』(시선사,2019)
    번역
    • 일연,『삼국유사』(홍익출판사,2001)
    • 노무라 신이치,『한국, 1930년대의 눈동자』(이회,2003)
    • 시모무라 고진,『논어』(현암사,2003)
    • 김부식,『삼국사기 열전』(현암사,2005)
    • 다니자키 준이치로,『그늘에 대하여』(눌와,2005)
    • 『화한창수집 이』(보고사, 2013)
    • 『사객통통집』(보고사, 2013)
    • 『상한성사답향』(보고사, 2014)
    • 『객관최찬집 외』(보고사, 2014)
    • 야스토미 아유무,『위험한 논어』(현암사, 2014)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한국출판학회, 동아시아고대학회, 열상고전연구회, 한국시가학회, 한국언어문화학회 

  • 김영재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3

    • E-MAIL

      kyj908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14호

    MORE VIEW
  • 김영재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3

    • E-MAIL

      kyj908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14호

    학력

    • 1984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(학사)
    • 1986년 University of Minnesota, Carlson School of Management 졸업 (MBA)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​문화콘텐츠마케팅, 콘텐츠비즈니스 

    주요경력
    • ​1986-1988: 삼성전자 경영기획실
    • 1988-1991: 제일기획
    • 1994-1996: (주)돌꽃컴퍼니 이사
    • ​2000-2007: 동우애니메이션(주) 부사장
    • 2005-2008: 영화진흥위원회 위원
    • 2014-2018: 한양대학교 ERICA 창업보육센터장
    주요논문
    • ​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국악공연 콘텐츠 구현방식 연구 (문화와 융합, 2021)
    • 숏폼 동영상 기반 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디자인 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20)
    • 북한의 개혁·개방 시대의 남북 애니메이션 협력전략 (애니메이션연구, 2018)
    • 디지털미디어 환경의 콘텐츠 비즈니스모델 (애니메이션연구, 2017)
    • 중국 문화콘텐츠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(인문콘텐츠, 2016)
    • 웹툰 콘텐츠 생산자 비즈니스모델 (애니메이션연구, 2015)
    • 방송영상 콘텐츠로서의 애니메이션 지원제도 연구 (만화애니메이션연구, 2015)
    •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콘텐츠 산업진흥기금 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2014)
    •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OSMU 전략모델의 타당성 연구 (만화애니메이션연구, 2012)
    • <아기공룡둘리>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(애니메이션연구, 2012) 외 22편
    주요 저서
    저서
    • 캐릭터라이선싱 (공저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9)
    • 중국의 경제구조변화와 한국의 기회 (공저, 한국개발연구원, 2015)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(사)한국애니메이션학회, (사)한국캐릭터학회 

  • 박기수

    교수
    • 문화콘텐츠학과주임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1

    • E-MAIL

      being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17호

    MORE VIEW
  • 박기수

    교수
    • 문화콘텐츠학과주임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1

    • E-MAIL

      being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17호

    학력

    • 1992년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학사
    • 1995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
    • 2001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,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, 향유, 팬덤, UI/UX 등이 중심 연구 분야다.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영역과 범주를 확장적으로 연구하며 스토리텔링 분석 방법론을 선도적으로 탐구해왔다. 최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향유, 팬덤, UI/UX에 이르기까지 조형적인 탐구를 진행하고 있다.

    주요경력
    • ​2021.07-현재: 국제문화대학장
    • 2014.01-현재: 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
    • 2021.01-현재: JTBC 시청자의회 자문위원
    • 2017.01-2021.06: 창의융합교육원장, IC-PBL센터장
    • 2021.01-12 : 2021콘텐츠원캠퍼스사업 단장
    • 2014-2019: 문화콘텐츠학과 CK사업단 단장
    • 2013-2015: 문화콘텐츠학과 BK21+사업단 단장
    • 2011.01-12: University of California, Irvine Visiting Scholar
    • 2010.01-12: KBS 미디어 비평 자문위원
    • 2007-2010: 광주스토리텔링아카데미 전문가 위원회 위원장
    • 2006-2010: 한국콘텐츠진흥원 기획창작아카데미 자문위원
    주요논문
    • 부산국제영화제 캐릭터 활성화 전략 연구
    • 한류의 지속 방안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
    •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
    • 애니메이션 리터러시, 향유의 전략화
    •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 가지 접근법
    • 서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간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 방안 연구
    • 디즈니 3D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
    • 디즈니/픽사 프랜차이즈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
    •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
    • <러브레터> 기억의 소환, 상실의 지연
    • <바람이 분다>, 풍경과 꿈의 붕괴된 파토스
    • 웹툰 스토리텔링, 변별적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
    • 왕가위 영화에 드러난 여성성의 이중적 층위
    • 웹툰의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 전략 연구
    •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
    • 역동적 참여와 융합 그리고 공유의 즐거움: 콘텐츠IP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등 80여편
    주요 저서
    단독저서
    • 《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》 논형, 2004
    • 《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》 논형, 2015.
    • 《웹툰,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8.
    • 《윤태호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8.
    • 《강도하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18.
    • 《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》 논형, 2018.
    • 《박수동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1
    • 《박흥용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1
    • 《방학기》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1 (총 9권)
    공저
    • 《문화콘텐츠학의 탄생》 다미디어, 2005
    • 《겨울연가, 콘텐츠와 콘텍스트 사이》 2005, 다미디어.
    • 《한류와 21세기 문화 비전》 2006, 청동거울
    • 《미디어 교육과 교수법》 2006, 커뮤니케이션북스
    • 《디지털미디어와 예술의 확장》, 아카넷, 2006
    • 《One Source Multi Use & Storytelling》, 랜덤 하우스, 2006
    • 《アニメは 越境する》, 岩波書店, 2010
    • 《아이피, 모든 이야기의 시작》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1 등 (총 20권)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인문콘텐츠학회, 한국애니메이션학회,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, 대중서사학회, 한국콘텐츠학회 등

  • 김치호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5

    • E-MAIL

      kenkim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05호

    MORE VIEW
  • 김치호

    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5

    • E-MAIL

      kenkim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05호

    학력

    • 1994년 University of Mary Washington 경영학과 졸업 (학사)
    • 2005년 University of Virginia MBA 졸업 (석사)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문화콘텐츠, 방송, 음악, 한류, 축제, OTT, 메타버스 

    주요경력
    • 2021-2021: 한양대학교 ERICA학술정보관장
    • 2014-2020: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 학과장, 대학원전공주임
    • 2011-2014: CJ E&M 글로벌사업팀장, 글로벌영업팀장
    • 2007-2010: 삼성증권 IB사업본부, Vice President
    • 1995-2007: 삼성에버랜드 전략기획팀
    주요논문
    • 방송포맷 거래에 나타나는 휴리스틱 및 네트워크 효과의 함의와 한국 포맷 수출 전략 연구: ˂복면가왕˃과 ˂너의 목소리가 보여˃ 중심으로, 인문콘텐츠, 2021
    • 비대면 패션·뷰티 공연의 체험요인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, 디지털융복합연구, 2021
    • 국내 OTT 플랫폼 드라마 수급 경쟁력 연구, 디지털융복합연구, 2021
    • OTT 플랫폼의 한국 드라마 서비스 확대와 드라마 제작사의 전략 변화: 동적역량관점(Dynamic Capabilities View)을 중심으로, 인문콘텐츠, 2020
    • The Impact of Blockchain Technology on the Music Industry,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, 2019
    • 문화콘텐츠 산업연계 과정을 통한 진로교육 연구, 애니메이션연구, 2018
    •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의 기술을 활용한테마파크 어트랙션의 연구, 디지털융복합연구, 2017
    • 상하이디즈니랜드의 현지화 전략, 인문콘텐츠, 2017
    • The Success Factors of Hallyu with focus on K-Pop, 한국언어문화, 2016
    •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, 인문콘텐츠, 2016 외 다수
    주요 저서
    저서
    • 언택트 시대, 미(美)의 새로운 도전, BC북스(공저)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인문콘텐츠학회, 디지털정책학회


  • 이진

    조교수
    • 문화콘텐츠학과장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6

    • E-MAIL

      zzin2024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407호

    MORE VIEW
  • 이진

    조교수
    • 문화콘텐츠학과장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6

    • E-MAIL

      zzin2024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407호

    학력

    • 2006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(학사)
    • 2009년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졸업 (석사)
    • 2018년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졸업 (박사)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반, 디지털 게임, 가상세계와 인터랙티브 콘텐츠, 웹콘텐츠

    주요경력
    • 문화콘텐츠학과 학과장
    • 인문콘텐츠학회 편집위원
    •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총무이사/편집위원
    주요논문
    • 「메타버스의 캐릭터 재현 연구」, 『만화애니메이션연구』, 제74호,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, 2024.
    • 「웹드라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」, 『문화와융합』, Vol.44 No.7, 한국문화융합학회, 2022.
    • 「재가공형 숏폼 콘텐츠의 특성 연구」, 『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』, Vol.22 No.5, 한국콘텐츠학회, 2022.
    • 「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: 가능세계 이론을 중심으로」, 『인문콘텐츠』, 제62호, 인문콘텐츠학회, 2021.
    • 「게임 IP 활용에 대한 미디어 산업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」, 『인문콘텐츠』, 제60호, 인문콘텐츠학회, 2021.
    • 「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」, 『인문콘텐츠』, 제58호, 인문콘텐츠학회, 2020.
    • 「트랜스미디어를 활용한 게임 마케팅 콘텐츠 연구」, 『만화애니메이션연구』, no.57,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, 2019.
    • 「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의 플레이 경험 연구: 발터 벤야민의 산책자(Flâneur) 개념을 중심으로」, 『인문콘텐츠』, 제51호, 인문콘텐츠학회, 2018.
    • 「모바일 역할수행 게임의 시간 기반 재구조화」, 『한국게임학회논문지』, Vol.17, No.5, 한국게임학회, 2017.
    주요 저서
    저서
    • 게임과 인공지능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4.
    • 스토리텔링 입문, 컴북스캠퍼스, 2023.(공저)
    • 모바일 게임 스토리텔링, 커뮤니케이션북스, 2020.
    •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,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, 2015.(공저)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인문콘텐츠학회, 한국게임학회,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, 한국애니메이션학회, 한국콘텐츠학회 등 

  • 박소정

    조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2

    • E-MAIL

      sojeongpark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09호

    MORE VIEW
  • 박소정

    조교수
    • TEL

      031-400-5432

    • E-MAIL

      sojeongpark@hanyang.ac.kr

    • 연구실

      국제문화관 509호

    학력

    • 2014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(학사)
    • 2016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(석사)
    • 2020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 (박사)

    연구관심분야

    한류, 플랫폼, 대중문화, 디지털 미디어, 문화연구 

    주요경력
    •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
    •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선임연구원
    주요논문
    • 제페토 드라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: 데이터베이스 소비론을 통하여. <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> 25(1), 2024.
    • 아시아 내 한류에 대한 국내 연구 메타 분석. <아시아리뷰>, 13권 3호, 2023.
    • 넷플릭스가 매개하는 태국의 드라마 한류. <방송과 커뮤니케이션>, 24권 4호, 2023.
    • Reshaping Hallyu: Global reception of South Korean content on Netflix.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, 17, 2023.
    • 확장하고 경합하는 K: 국내 언론 보도를 통해 본 K 담론에 대한 분석. <한국언론학보>, 66권 4호, 2022.
    • 일본 내 글로벌 SVOD 서비스를 통한 한국 드라마 수용. <한국언론학보>, 65권 3호, 2021.
    • Performing whiteness: skin beauty as somatechnics in South Korean stardom and celebrity. Celebrity Studies, 12(2), 2021.
    • 샘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. <미디어, 젠더 & 문화>, 36권 1호, 2021.
    • K-뷰티산업의 피부색주의. <한국언론학보>, 64권 6호, 2020.
    • K-뷰티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: 화이트워싱/옐로우워싱 논쟁을 중심으로. <언론정보연구>, 56권 2호, 2019.
    • '아재'라는 호명의 독: 대중문화 속 '아재' 코드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축하는 방식. <미디어, 젠더 & 문화>, 32권 3호, 2017.
    •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: 2008년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재현을 통해 본 연애. <미디어, 젠더 & 문화>, 31권 3호, 2016.
    주요 저서
    저서
    • 미백: 피부색의 문화정치, 컬처룩, 2022.
    • 연애정경, 스리체어스, 2017.
    주요 학회 활동

    한국언론학회, 한국방송학회,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, 한국언론정보학회, 한국문화연구학회